요즘 뉴스 중에서
코로나 아니면 환경과 관련된 뉴스가 많이 눈에 띄는데
개인들이 환경보호 환경보호 많이 외치지만
기업이 그 소비자들의 움직임에 응답하여 제품을 환경에 해롭지 않게 만들어야
진짜 변화하는 거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.
아무리 플라스틱빨래를 분리배출을 해도 결국 플라스틱 쓰레기는 500년이상 썩지 않고
편의점에서 물건을 살때 나 혼자 아무리 비닐봉투를 아무리 달라고 하지 않아도
편의점에 있는 모든 물건들은 다 플라스틱에 포장되어 진열되어 있기 때문에
내가 봉투 하나 덜 쓰는게 정말 지구환경에 도움이 되는걸까 고민이 되기도 했다.
이제 사람들이 물건의 가격만 보는게 아니라 기업의 ESG를 보고
그 회사 물건을 소비하고 그 회사에 투자하기 때문에
ESG에서 E를 담당하고 있는 Environment와 관련된
종이빨대나 무라벨 생수병, 친환경봉투 등 소비자들 눈에 띌 수 있는
쉽고 빠르게 생색내기 쉬운것부터 시작한게 아닐까 싶다.
친환경봉투
내 피부에 느껴지는 변화라고 한다면
요즘 이렇게 편의점에서 주는 1회용 봉투가
친환경 봉투가 되었다는 것 ?
생분해성 원료로 만들었다고 하는데
뭔지 몰라고 한번 검색해보았다.
원래는 물건을 적게 사면
봉투가 필요하면 종량제봉투를 사서 담아가곤 하는데
친환경봉투라고 하니까 죄책감을 조금 던 상태로 사용하고 있다.
EL-724
저게 뭔지 궁금해서 검색해보았는데
옥수수 젖산, 셀룰로스, 화학계 고분자 등 100% 자연분해가 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졌다고 하고
자연상태에서 일정한 조건이 충족되면 180일이내에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 가능하다고 한다
다른 기사도 찾아보니까
환경단체에서는 저 일정한 조건이라는게 일반적인 환경에서 맞추기가 힘들다고 하는데
각종 기업에서 지금 다양한 성분으로 친환경 생분해 봉투를 만들고 잇으니까
이제 점점 더 빨리 썩는 봉투를 만드는 경쟁이 붙지 않을까 ? ㅋㅋㅋㅋ
그리고 각종 기업에서 개인 주문제작도 가능하다고 하는데
만~~~~약에 내가 나중에 내 베이커리를 창업하면
꼭 친환경봉투로 만들어야겠다 ㅋㅋㅋㅋㅋㅋ
봉투에 보면 생분해 소재로 만들어져서 날카로운 물건을 담거나 무리하게 상품을 담으면 안된다고 하는데
실제로 만져보면 진짜 일반 플라스틱 비닐봉투랑은 재질이 좀 다르다.
부스럭 거리는 소리도 다르고 뭔가 더 쫀쫀~하면서 스판처럼 늘어나는 재질이다.
부스럭이 아니고 버스럭 거릴 거 같은 재질
무라벨 생수병
생분해 봉투 말고도 요즘 무라벨 생수병이 많이 보인다!
요거트 통도 그렇고 한번에 상품 라벨지가 벗겨 질 수 있게 제작된 것부터 해서
불필요한 상품 라벨지를 제거 하고
플라스틱 용기만 딱 나온 제품들이 많아지고 있따.
그리고 요즘에 이렇게 무라벨 생수병이 많이 나와서 기분이 좋다
내가 알기론 롯데 아이시스부터 시작했던 거 같은데
이제 거의 모든 생수브랜드에서 이렇게 무라벨을 실천하고 있다
이렇게 뚜껑에만 최소한으로 성분 표시와 상품 정보를 기입해두고 있다.
아무래도 판매하는 상품이니까 이건 어쩔 수 없나보다
얘는 벗겨보니 그냥 일반 포장지 재질이었다.
상품 라벨지만 무라벨이고
이 생수병 또한 플라스틱이긴 하지만
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분리배출을 잘 하면 되기 때문에
죄책감이 또 덜하다.
앞으로도 기업에서 환경을 먼저 생각해서
제품을 만들고 판매를 했으면 좋겠다!
소비자가 먼저 움직이는게 아니라
기업이 먼저 소비자들의 생각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해서
제품을 잘 만들어주길~~~~~~~~~~~~~~~~~~~
'기타등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유픽 친구추천코드 공유합니다 :) (0) | 2021.09.30 |
---|---|
[부산역] 김밥천국 참치김치찌개 (2) | 2021.09.15 |
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 삼성카드 신청 완료 ! (0) | 2021.09.11 |
졸귀탱 15인치 노트북 파우치 [지지플래닛] (1) | 2021.09.07 |
가성비노트북 한성컴퓨터 TFX5450UC 첫인상 리뷰 (1) | 2021.09.04 |